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C형 퇴직연금, 올웨더 포트폴리오 운영하기

by 맛좋은 밤 2025. 4. 24.

퇴직연금을 DC형으로 전환했다면, 당장의 목돈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저 역시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요.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이 올웨더 포트폴리오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종목이나 구성비가 조금 다르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유사한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올웨더 포트폴리오가 무엇인지, DC형 퇴직연금에서는 어떤 종목으로 운영하면 되는지에 대한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C형 퇴직연금의 경우 채권 등 안전자산을 30%는 무조건 보유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많은 전략 중 채권을 30%이상 포함하는 전략을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그런측면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채권을 40%의 비중으로 두고 있으므로 DC형 퇴직연금에 매우 적합한 투자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란?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창립자 레이 달리오가 설계한 자산배분 전략입니다. 다양한 경제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자산가늬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어, 경기 확장기, 침체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등 다양한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 기본 구성

 

레이 달리오가 제안한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대표적인 자산 배분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식 : 30%
- 장기 국채 : 40%
- 중기 국채 : 15%
- 금 : 7.5%
- 원자재 : 7.5%

 

이 구성은 자산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특정 자산군의 부진이 다른 자산군의 성과로 상쇄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만, 2022년 인플레이션 상황과 최근 트럼프의 관세 인상에 따른 주식과 채권 동반 폭락 사태에서 보듯이 주식과 채권의 음의 상관관계가 조금 깨진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있긴 합니다. 
하지만, 금과 원자재가 포트폴리오에 있기 때문에 주식 몰빵 투자에 비하여는 안정성이 큰 건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DC형 퇴직연금용) 올웨더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

퇴직연금 DC형 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면,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여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원칙을 기반으로,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한 구성 예시입니다. 

 

자산군 비중 추천 ETF
주식 30%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
장기국채 40%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H)
중기국채 15% KODEX 미국채10년선물(H)
7.5% TIGER 골드선물(H)
원자재 7.5% KODEX WTI원유선물(H)

 

(구성 포인트)

 

- 주식 : 미국 대형주와 기술주에 분산 투자하여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채권 : 장기 및 중기 미국 국채 ETF를 통해 금리 변동에 대비한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 금 :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금 ETF를 포함시켜 포트폴리오의 방어력을 강화합니다. 
- 원자재 : 원유 ETF를 통해 경기 확장기에 수익을 추구하며,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높입니다. 

 

 

(리벨런싱 및 운용 팁)

- 정기적인 리밸런싱 : 시장 변동에 따라 자산 비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 1회 정도 비중을 조정하여 초기 섦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헤지 고려 : 환율 변동에 빈감한 투자자라면 환헷지형 ETF를 선택하여 환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장기적으로 운영하는 퇴직연금에서는 저는 환헷지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건 나중에 따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 장기 투자 관점: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단기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안정성과 리스크 관리를 중시하므로,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퇴직연금 DC형 계좌에서도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단점

좋은 측면만 강조하면 중요한 투자전략 선택을 오도할 수 있으니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단점에 대하여도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주식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상승장에서는 전체 수익률이 시장 평균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2. 포트폴리오의 상당 부분이 장기 채권에 투자되어 있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전체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리밸런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리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4. 안정성과 리스크 분산에 중점을 둔 전략이므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나 단기적인 성과를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때에는 개인의 투자 목표, 리스크 허용 범위, 투자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에 따라 자산 비중을 조정하거나 다른 전략과 병행하여 운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