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상품이라 하면 보장하는 범위에 따른 의무보험, 종합보험을 상품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또는 가족한정, 1인한정처럼 운전할 수 있는 범위를 상품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고요. 하지만, 원론적으로 자동차보험의 종류는 가입대상에 따라 개인용, 업무용, 영업용 등의 상품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원칙적으로 가입대상에 따른 자동차보험 상품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보험 상품 종류
자동차보험은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소유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나 손해에 대비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운전 중 사고가 나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었을 때(대인, 대물), 내 차가 망가졌을 때(자차), 내가 다쳤을 때(자손, 자상) 등 상황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품의 종류는 자동차의 용도와 가입대상에 따라 개인용, 업무용, 영업용, 이륜차보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특수한 가입 대상이나 틈새 보장을 위한 상품으로 대리운전자보험, 자동차취급업자 종합보험, 원데이 보험 등이 있습니다.
개인용자동차보험
법정승차정원 10인승 이하의 개인소유 자가용 승용차가 가입하는 보험입니다. (다만, 인가된 자동차학원 또는 자동차학원 소유의 자동차로서 운전교습, 도로주행교육 및 시험에 사용되는 승용차는 제외)
가입대상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법적승차정원 10인승 이하의 차량만 해당됩니다. 11인승 이상의 승합차는 가입대상이 아닙니다.
- 개인소유만 해당됩니다. 승용차라 하더라도 법인소유의 승용차는 가입대상이 아닙니다.
- 자가용만 해당됩니다. 렌터카의 경우 사업용으로 제외됩니다.
- 승차정원이 10인승 이하라도 승용차가 아닌 화물차나 특수차의 경우 가입대상이 아닙니다.
가입대상이 아닌 게 많아 보이지만, 사실은 개인용이 가장 많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대부분의 자동차 소유자는 개인용자동차보험을 가입하셔야 할 겁니다. 개인용이 전체 자동차보험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업무용자동차보험
개인용자동차보험 가입대상을 제외한 모든 비사업용 자동차
업무용자동차보험의 가입대상은 좀 더 포괄적이네요. 개인용을 가입하지 못하는 비사업용자동차는 모두 업무용자동차보험 가입대상입니다. 업무용은 전체 자동차보험의 약 25% 정도 차지합니다..
단, 착각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비사업용" 자동차에 한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사업용(영업용) 차량은 제외입니다.
영업용자동차보험
모든 사업용(영업용) 자동차
개인택시, 영업용 화물, 렌터카, 시내/시외버스, 전세버스 등 운수사업면허를 획득하고 영업용으로 등록된 자동차가 가입하여야 합니다. 영업용자동차보험은 약 3%의 구성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륜자동차보험
이륜자동차(3륜, 4륜 오토바이 포함) 또는 원동기장치자전거
과거에는 50cc이상 이륜차만 보험 가입 대상이었으나, 이제는 50cc 미만의 원동기장치자전거도 이륜차가 가입대상입니다.
단, 자동차관리법 제48조 및 시행규칙 제98조의7에 따라 최고속도가 시속 25km 이상인 이륜차자동차는 사용신고대상이므로 시속 25km가 넘지 않는 전동 휠체어, 전동스크터, 전동휠 등은 이륜자동차보험에 가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
개인용/업무용/영업용/이륜자동차보험은 가입대상에 따라 상품은 다르지만, 대인배상, 대물배상, 무보험차상해, 자기차량손해 등 보상하는 내용은 동일합니다.
보상 내용이 동일한데 왜 상품은 이렇게 구분해 놓았을까요.
추정해보자면, 사용용도와 차량의 형태에 따라 보험종목을 구분함으로써 사고의 위험도를 평가 및 예측력을 높이고 유사한 위험을 묶어서 평가함으로서 보험료 적용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관리목적이 컸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보험상품별로 할인할증을 적용하기도 하고요.
하나 더. 요즘은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채널이 다양해지다보니 같은 상품에서 사업비만 차등화된 상품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용자동차보험은 기본적으로 전통 채널인 설계사나 대리점에서 파는 보험상품이고요. 인터넷에서 소비자가 직접 가입하는 상품은 다이렉트개인용자동차보험이라고 하여 별도 상품으로 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자동차보험의 기본적인 보상내용은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회사에 가입하든 어느 채널에 가입하든 거의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자동차보험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직접 가입하신다면 전통 채널을 통해 가입하는 것보다 15% 이상의 보험료 절감을 할 수 있습니다.